All Articles

AI 기반 인스타그램 분석 대시보드

기존 툴의 한계를 넘어, AI로 원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자동 리포팅까지

Image

Image

인스타그램 오가닉 콘텐츠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확보하기 위해 맞춤형 분석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총괄했습니다. No-Code 툴과 AI를 결합하여 개발 리소스 없이 단 일주일 만에 데이터 수집부터 AI 분석, 시각화 대시보드, 팀 리포팅까지 이어지는 완전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구축했습니다.

프로젝트 인스타그램 오가닉 콘텐츠 성과 분석 자동화
역할 프로젝트 오너 (기획, 개발, 시스템 설계 총괄)
진행 기간 2025.09.15 ~ 2025.09.22
핵심 성과 데이터 분석 업무 완전 자동화AI 기반 커스텀 성장 지표 개발
활용 역량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 마케팅 퍼널 분석,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No-Code 자동화(n8n), API 연동(Meta, Gemini), 데이터 시각화(Looker Studio)

Key Results

  • 분석 리소스 '0', 데이터 수집-저장 완전 자동화 : n8n과 Meta Graph API를 연동하여 오가닉 콘텐츠의 핵심 지표(도달, 참여, 저장 등)를 매일 자동으로 수집하고 Google Sheets 데이터베이스에 누적시키는 시스템을 구축, 분석을 위한 선행 작업 리소스를 완벽하게 제거했습니다.

  • AI 기반 커스텀 인사이트 및 성장 지표 생성 : 단순 데이터 집계를 넘어, Gemini AI를 활용해 팀에 필요한 새로운 관점의 지표를 생성했습니다. AI가 주간 성과 데이터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성과 원인과 개선점을 도출하고, ‘콘텐츠 기반 팔로워 전환율’과 같은 기존 툴로는 볼 수 없던 복합 지표를 직접 계산하여 리포팅함으로써 분석의 깊이를 더했습니다.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Looker Studio 대시보드와 매주 Slack으로 자동 발송되는 AI 분석 리포트를 통해, 팀 전체가 개인의 감이 아닌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통하고 콘텐츠 전략을 수립하는 의사결정 문화를 정착시켰습니다.

My Role & Strategy

  • 목표 중심의 마케팅 퍼널 설계 : 가장 먼저 성과를 측정할 명확한 기준을 세웠습니다. '도달 → 좋아요 → 프로필 방문 → 팔로우'로 이어지는 핵심 퍼널을 정의하고, 이 지표들의 주간 변화 추이를 추적하여 어떤 단계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뼈대를 설계했습니다.

  • No-Code와 AI를 활용한 핵심 기능 신속 구현 : 제한된 시간과 리소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o-Code 툴인 n8n을 중심으로 전체 워크플로우를 구축했습니다. 초기 설계 단계에서는 Claude AI를 활용해 개발의 청사진을 빠르게 그려 효율을 높였고, 핵심 분석 엔진으로는 Gemini API를 연동하여 복잡한 인사이트 도출과 지표 계산을 자동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실행 가능한(Actionable) 리포팅 자동화 : 데이터가 대시보드 안에만 머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팀원들이 가장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Slack으로 AI 분석 결과를 자동 발송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이를 통해 팀 전체가 자연스럽게 데이터를 확인하고 다음 액션 아이템을 논의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Learnings & Improvements

  • 상상하는 모든 분석을 현실로 만드는 AI의 가능성을 입증한 경험이었습니다. 기존 분석 툴이 제공하는 정형화된 지표에 의존하는 수동적인 분석에서 벗어나, 우리 팀의 목표와 상황에 맞는 지표를 직접 정의하고 AI를 활용해 능동적으로 인사이트를 찾아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

  • 아쉬웠던 점은 현재 시스템이 '과거 성과 분석'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다시 진행한다면, 성과가 좋았던 콘텐츠의 키워드나 주제를 AI가 분석하여 새로운 콘텐츠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기능까지 확장하여, 분석에서 그치지 않고 '콘텐츠 기획' 단계까지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고도화하고 싶습니다.

Imag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