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임팩트x모두의연구소 테크포임팩트
가치 중심의 메시지로 1기 대비 2.5배 성장, 목표 560% 초과 달성

카카오임팩트와 함께하는 사회공헌 기술 커뮤니티 '테크포임팩트' 2기 모집 캠페인을 총괄했습니다. 단순 스펙 나열의 기존 방식을 벗어나, '지속가능한 기술', '의미있는 사이드 프로젝트'라는 가치 중심의 메시지를 통해 타겟 오디언스의 사회적 기여 욕구와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 결과, 목표 인원(73명) 대비 5.6배에 달하는 409명의 지원자를 모집했으며, 이는 1기 지원자 수(164명)보다 2.5배 증가한 성공적인 성과입니다.
| 프로젝트 | 카카오임팩트x모두의연구소 테크포임팩트 LAB 모집 | 
|---|---|
| 역할 | 모집 홍보 총괄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 기간 | 2025.06.04 ~ 2025.06.22 (3주) | 
| 핵심 성과 | 지원자 409명 확보 (목표 73명 대비 560% 달성) | 
| 활용 역량 | 콘텐츠 마케팅, 소셜 미디어 전략, 카피라이팅, 커뮤니티 마케팅 | 
Key Results
1. 핵심 목표 560% 초과 달성
- 모집 목표였던 73명을 크게 상회하는 총 409명(랩장 13명, 랩원 396명)의 지원자를 확보하여 목표 대비 560%의 압도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이는 1기 지원자(164명) 대비 2.5배 증가한 수치로, 캠페인의 성공적인 성장을 증명했습니다. 
2. 높은 잠재 지원자 관심 확보 및 참여 유도
-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모집 설명회에 총 221명(온라인 145명, 오프라인 76명)의 참여를 유도하며, 잠재 지원자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3. 멀티 채널 콘텐츠를 통한 효과적인 도달
- 인스타그램(릴스, 카드뉴스), 유튜브(숏츠) 등 핵심 타겟이 집중된 채널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발행하여 총 15,352회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 13개의 온/오프라인 채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총 2,290건 이상의 외부 링크 클릭을 발생시키며 웹사이트 트래픽을 성공적으로 견인했습니다. 
My Role & Strategy
저는 이번 2기 모집 캠페인의 성공을 위해, 단순 정보 전달이 아닌 '매력적인 가치 제안'에 집중하는 3단계 전략을 기획하고 실행했습니다.
1. 메시지 전략: '스펙'이 아닌 '가치'와 '호기심'을 제안
기존의 딱딱한 모집 공고 형식에서 벗어나, IT 전문가들의 내면에 있는 지적 호기심과 사회적 기여 욕구를 자극하는 메시지를 개발했습니다. "의미있는 사이드 프로젝트 어때요?", "당신의 기술로 사회 문제를 푸는 실험실에 초대합니다" 와 같은 감성적이고 흡입력 있는 카피를 통해 잠재 지원자들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좁혔습니다.
2. 콘텐츠 전략: '연구 주제'를 '매력적인 콘텐츠'로 재가공
실제 2기에서 다룰 연구 주제들을 단순 나열하는 대신, 각 주제가 가진 사회적 의미와 기술적 도전 과제를 흥미롭게 풀어낸 콘텐츠 시리즈를 제작했습니다. 특히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채널에는 숏폼 영상과 카드뉴스 형태로 가공하여, 타겟 오디언스가 짧은 시간 안에 프로젝트의 매력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3. 채널 전략: 보유 채널과 외부 채널의 시너지 극대화
자체 보유 채널(슬랙, 뉴스레터 등 약 6.4만 명)에는 내부 커뮤니티의 특성을 살려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소셜 미디어와 외부 커뮤니티에는 흥미 유발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확산했습니다. 특히 모집 마감 주에는 유료 광고를 통해 전환 가능성이 높은 잠재 지원자들에게 리마인드 메시지를 집중 노출하여, 마지막 스퍼트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Learnings
- 가치 중심 커뮤니케이션의 힘: IT 전문가와 같은 기술 인력에게도 단순히 기술 스펙이나 보상을 나열하는 것보다, 프로젝트가 가진 사회적 가치와 비전을 진정성 있게 전달하는 것이 훨씬 강력한 동기부여가 된다는 점을 데이터를 통해 입증했습니다.